대사증후군이란?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고혈압‧고혈당‧이상지질혈증 등 여러 대사 이상이 한꺼번에 나타나는 상태입니다. "침묵의 질병"이라 불리지만 방치하면 심뇌혈관질환‧당뇨병 위험을 2-3배 높이므로 조기 진단과 적극적 관리가 필수입니다.
대사증후군 진단 5대 기준
- 1. 복부비만 : 남성 허리둘레 ≥ 90cm, 여성 ≥ 85cm
- 2. 고혈압 : 수축기 ≥ 130mmHg 또는 이완기 ≥ 85mmHg (치료 중 포함)
- 3. 고혈당 : 공복혈당 ≥ 100mg/dL (당뇨 진단‧치료 중 포함)
- 4. 중성지방 증가 : ≥ 150mg/dL (치료 중 포함)
- 5. HDL 콜레스테롤 저하 : 남성 < 40mg/dL, 여성 < 50mg/dL
⚠️ 이 중 3가지 이상 해당하면 대사증후군으로 진단됩니다.
대사증후군 기준별 상세 수치표
진단 항목 | 남성 기준 | 여성 기준 | 참고사항 |
---|---|---|---|
복부비만 (허리둘레) | ≥ 90cm | ≥ 85cm | 배꼽 위치에서 측정 |
고혈압 | ≥ 130/85mmHg | ≥ 130/85mmHg | 고혈압약 복용 중 포함 |
고혈당 (공복) | ≥ 100mg/dL | ≥ 100mg/dL | 8시간 금식 후 측정 |
중성지방 | ≥ 150mg/dL | ≥ 150mg/dL | 지질강하제 복용 중 포함 |
HDL 콜레스테롤 | < 40mg/dL | < 50mg/dL | "좋은" 콜레스테롤 부족 |
위험 요인 및 합병증
• 주요 위험요인 : 서구식 식단, 운동 부족, 스트레스, 흡연‧과음, 유전적 소인
• 심각한 합병증 : 심근경색‧뇌졸중 위험 2-3배 ↑, 제2형 당뇨 5배 ↑, 지방간‧신부전 진행
• 사망률 증가 : 정상인 대비 심혈관 사망 위험 1.5-2배 상승
예방 & 관리 생활수칙
- 체중 관리 : BMI 23 이하, 허리둘레 목표치 달성 위한 칼로리 조절
- 규칙적 운동 : 주 150분 중강도 유산소 + 주 2회 근력운동
- 건강한 식습관 : 저염‧저당‧고섬유 식단, 가공식품 제한
- 금연‧절주 : 니코틴‧알코올은 혈관‧대사에 악영향
- 스트레스‧수면 관리 : 7-8시간 숙면, 명상‧취미로 코르티솔 조절
자가 체크리스트 & FAQ
Q1. 대사증후군 진단에 몇 개 항목이 해당해야 하나요?
A. 5개 기준 중 3개 이상 해당하면 대사증후군으로 진단합니다.
Q2. 허리둘레는 어떻게 재야 정확한가요?
A. 숨을 자연스럽게 내쉰 상태에서 배꼽 위치를 줄자로 수평하게 측정합니다.
Q3. 대사증후군이 있으면 반드시 약을 먹어야 하나요?
A. 생활습관 교정을 먼저 시도하고, 개선되지 않으면 전문의와 상의해 약물치료를 고려합니다.










0123456789
전문 검사 및 상담 안내
종합검진 센터
- 혈압‧혈당‧지질검사, 복부 CT‧초음파로 정밀 진단
- 연간 1-2회 정기 검진 권장
대사증후군 클리닉
- 개인 맞춤 식단‧운동 처방
- 내분비‧심장내과 협진으로 통합 관리
0123456789
마무리 코멘트
대사증후군은 "생활습관병"의 대표격으로, 조기 발견과 적극적 관리만 있다면 충분히 예방‧개선할 수 있습니다. 위 진단 기준을 참고해 본인 상태를 점검하고, 3개 이상 해당한다면 지금 당장 생활습관 개선을 시작하세요. 건강한 오늘이 건강한 미래를 만듭니다!
'건강관리 A to Z'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기몸살 빨리 낫는법 (1) | 2025.08.05 |
---|---|
혈액순환 꿀팁 (0) | 2025.08.04 |
근감소증 예방 (3) | 2025.08.04 |
통풍 예방법 (6) | 2025.08.04 |
신장 건강법 (4) | 2025.08.04 |